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642 좇을 준ː 遵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1급 읽기3급 쓰기2급 준수 遵守 대한민국헌법 제4장 정부 제1절 대통령 제69조 한자급수 좇을준

by 모카폿 2025. 3. 13.
728x90
반응형

2642 
좇을 준ː 遵 
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 
읽기3급 쓰기2급 
준수 遵守 

#대한민국헌법 제4장 정부 제1절 대통령 제69조

 

 

 

 

 

 

좇을 준ː  [,辶,⻎(책받침)] (쉬엄쉬엄 갈 착) ]

= 尊(높을 존) + (쉬엄쉬엄 갈 착)  

= 酋(우두머리 추) + 寸(마디 촌) + (쉬엄쉬엄 갈 착)  
= 八(여덟 팔) + 酉(닭 유) + 寸(마디 촌) + (쉬엄쉬엄 갈 착)

 

 

 

<처음>

# #대한민국헌법

        제4장 정부

        제1절 대통령

 제69조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다음의 선서를 한다.
“나는 헌법을 준수하고 국가를 보위하며 조국의 평화적 통일과 국민의 자유와 복리의 증진 및 민족문화의 창달에 노력하여 대통령으로서의 직책을 성실히 수행할 것을 국민 앞에 엄숙히 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<처음>

#[1]대한민국헌법

        [2]4[3] [4]정부

        [2]1[5] [6]대통령

 [2]69[7] [6]대통령은 [8]취임에 즈음하여 다음의 [9]선서를 한다.
“나는 [10]헌법을 [11]준수하고 [12]국가 [13]보위하며 [14]조국의 [15]평화적 [16]통일과 [17]국민의 [18]자유와 [19]복리의 [20]증진 및 [21]민족문화의 [22]창달에 [23]노력하여 [6]대통령으로서의 [23]직책을 [24]성실히 [25]수행할 것을 [17]국민 앞에 [26]엄숙히 선서합니다.”



<끝>

 

 

 

2642 좇을 준ː 遵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1급 읽기3급 쓰기2급

 

 

 

<처음>

#[1]대한민국헌법(大韓民國憲法)

        [2]제(第)4[3]장(章) [4]정부(政府)

        [2]제(第)1[5]절(節) [6]대통령(大統領)

 [2]제(第)69[7]조(條) [6]대통령(大統領)은 [8]취임(就任)에 즈음하여 다음의 [9]선서(宣誓)를 한다.
“나는 [10]헌법(憲法) [11]준수(遵守)하고 [12]국가(國家)를 [13]보위(保衛)하며 [14]조국(祖國)의 [15]평화적(平和的) [16]통일(統一)과 [17]국민(國民)의 [18]자유(自由)와 [19]복리(福利)의 [20]증진(增進) 및 [21]민족문화(民族文化)의 [22]창달(暢達)에 [23]노력(努力)하여 [6]대통령(大統領)으로서의 [23]직책(職責)을 [24]성실(誠實)히 [25]수행(遂行)할 것을 [17]국민(國民) 앞에 [26]엄숙(嚴肅)히 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#훈음

[1] 큰 대 / *한국 한, 나라 한 / 백성 민 / 나라 국 / 법 헌 / 법 법 = 대한민국헌법(大韓民國憲法)
[2] 차례 제 = 제(第)
[3] 글 장 = 장(章)
[4] 정사 정 / 마을 부 = 정부(政府)
[5] 마디 절 = 절(節)
[6] 큰 대 / 거느릴 통 / 거느릴 령 = 대통령(大統領)
[7] 가지 조 = 조(條)
[8] 나아갈 취 / 맡길 임 = 취임(就任)
[9] 베풀 선 / 맹세할 서 = 선서(宣誓)
[10] 법 헌 / 법 법 = 헌법(憲法)
[11] 좇을 준 / *지킬 수, 벼슬이름 수 = 준수(遵守)
[12] 나라 국 / 집 가 = 국가(國家)
[13] 지킬 보 / 지킬 위 = 보위(保衛)
[14] 할아비 조 / 나라 국 = 조국(祖國)
[15] 평평할 평 / 화할 화 / 과녁 적 = 평화적(平和的)
[16] 거느릴 통 / 한 일 = 통일(統一)
[17] 나라 국 / 백성 민 = 국민(國民)
[18] 스스로 자 / 말미암을 유 = 자유(自由)
[19] 복 복 / 이할 리(이) = 복리(福利)
[20] 더할 증 / 나아갈 진 = 증진(增進)
[21] 백성 민 / 겨레 족 / 글월 문 / 될 화 = 민족문화(民族文化)
[22] 화창할 창 / 통달할 달 = 창달(暢達)
[23] 힘쓸 로(노) / 힘 력 = 노력(努力)
[23] 직분 직 / 꾸짖을 책 = 직책(職責)
[24] 정성 성 / 열매 실 = 성실(誠實)
[25] 드디어 수 / *다닐 행, 항렬 항 = 수행(遂行)
[26] 엄할 엄 / 엄숙할 숙 = 엄숙(嚴肅)

* 훈이나 음을 2개 이상 나열함.

 

 

 

<처음>

#[1]大韓民國憲法

        [2]4[3] [4]政府

        [2]1[5] [6]大統領

 [2]69[7] [6]大統領은 [8]就任에 즈음하여 다음의 [9]宣誓를 한다.
“나는 [10]憲法[11]遵守하고 [12]國家를 [13]保衛하며 [14]祖國의 [15]平和的 [16]統一과 [17]國民의 [18]自由와 [19]福利의 [20]增進 및 [21]民族文化의 [22]暢達에 [23]努力하여 [6]大統領으로서의 [23]職責을 [24]誠實히 [25]遂行할 것을 [17]國民 앞에 [26]嚴肅히 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<처음>

#[1]대한민국헌법(大韓民國憲法)

        [2]제(第)4[3]장(章) [4]정부(政府)

        [2]제(第)1[5]절(節) [6]대통령(大統領)

 [2]제(第)69[7]조(條) [6]대통령(大統領)은 [8]취임(就任)에 즈음하여 다음의 [9]선서(宣誓)를 한다.
“나는 [10]헌법(憲法)을 [11]준수(遵守)하고 [12]국가(國家)를 [13]보위(保衛)하며 [14]조국(祖國)의 [15]평화적(平和的) [16]통일(統一)과 [17]국민(國民)의 [18]자유(自由)와 [19]복리(福利)의 [20]증진(增進) 및 [21]민족문화(民族文化)의 [22]창달(暢達)에 [23]노력(努力)하여 [6]대통령(大統領)으로서의 [23]직책(職責)을 [24]성실(誠實)히 [25]수행(遂行)할 것을 [17]국민(國民) 앞에 [26]엄숙(嚴肅)히 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<처음>

#대한민국헌법(大韓民國憲法)

        제(第)4장(章) 정부(政府)

        제(第)1절(節) 대통령(大統領)

 제(第)69조(條) 대통령(大統領)은 취임(就任)에 즈음하여 다음의 선서(宣誓)를 한다.
“나는 헌법(憲法)을 준수(遵守)하고 국가(國家)를 보위(保衛)하며 조국(祖國)의 평화적(平和的) 통일(統一)과 국민(國民)의 자유(自由)와 복리(福利)의 증진(增進) 및 민족문화(民族文化)의 창달(暢達)에 노력(努力)하여 대통령(大統領)으로서의 직책(職責)을 성실(誠實)히 수행(遂行)할 것을 국민(國民) 앞에 엄숙(嚴肅)히 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<처음>

#大韓民國憲法

        第4章 政府

        第1節 大統領

 第69條 大統領은 就任에 즈음하여 다음의 宣誓를 한다.
“나는 憲法을 遵守하고 國家를 保衛하며 祖國의 平和的 統一과 國民의 自由와 福利의 增進 및 民族文化의 暢達에 努力하여 大統領으로서의 職責을 誠實히 遂行할 것을 國民 앞에 嚴肅히 선서합니다.”

<끝>

 

 

 

 

 

 

2642 좇을 준ː 遵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1급 읽기3급 쓰기2급 준수 遵守

 

 

 

 

 

 [1] 대한민국헌법 - 대한(-)민국^헌법(大韓民國憲法)
[15] 평화적 - 평화-적(平和的)
[21] 민족문화 - 민족^문화(民族文化)

##2642 #좇을준ː #遵 #한자능력검정시험 #한국어문회 #한자급수 #한자1급 #읽기3급 #쓰기2급 #준수 #遵守 #대한민국헌법제4장정부제1절대통령제69조

#큰대 #한국한 #나라한 #백성민 #나라국 #법헌 #법법 #대한민국헌법 #大韓民國憲法 #차례제 #제 #第 #글장 #장 #章 #정사정 #마을부 #정부 #政府 #마디절 #절 #節 #거느릴통 #하여금령 #하여금영 #대통령 #大統領 #가지조 #조 #條 #나아갈취 #맡길임 #취임 #就任 #베풀선 #맹세할서 #선서 #宣誓 #헌법 #憲法 #좇을준 #지킬수 #벼슬이름수 #준수 #遵守 #집가 #국가 #國家 #지킬보 #지킬위 #보위 #保衛 #할아비조 #조국 #祖國 #평평할평 #화할화 #과녁적 #평화적 #平和的 #한일 #통일 #統一 #국민 #國民 #스스로자 #말미암을유 #자유 #自由 #복복 #이할리 #이할이 #복리 #福利 #더할증 #나아갈진 #증진 #增進 #겨레족 #글월문 #될화 #민족문화 #民族文化 #화창할창 #통달할달 #창달 #暢達 #힘쓸노 #힘력 #힘역 #노력 #努力 #직분직 #꾸짖을책 #직책 #職責 #정성성 #열매실 #성실 #誠實 #드디어수 #다닐행 #항렬항 #수행 #遂行 #엄할엄 #엄숙할숙 #엄숙 #嚴肅

#한자능력검정시험 #한국어문회 #한자급수 #한자 #급수 #특급 #1급 #2급 #3급 #4급 #5급 #6급 #7급 #8급
#한자1급 #한자2급 #한자3급 #한자4급 #한자5급 #한자6급 #한자7급 #한자8급 #한자특급 #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