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3212 한할 한ː 限 한할한ː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 읽기4급II 쓰기3급II 한계 限界 제한 制限

by 모카폿 2024. 11. 17.
728x90
반응형

3212 
한할 한ː 限 한할한ː 
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 
읽기4급II 쓰기3급II 
한계 限界 
제한 制限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한할 한ː [ 阝 [阜,𨸏] (좌부변, 언덕 부) ]

= 阝(언덕 부) + 艮(괘 이름 간)

 

 

 

# #
...그 힘을 외적의 침입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백성들을 억누르는 데 사용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
한 나라 안에서 약자들이 이런저런 강자들의 침탈 대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그들 모두를 제압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최고 강자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소소한 강자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약자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경계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자기 나라를 온전히 지탱하기 위해, 최고 권력자가 행사할 수 있는 힘의 한계를 규정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권력에 대해 제한을 가하는 것을 바로 자유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출처: 존 스튜어트 밀, 자유론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 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#
...그 힘을 (1)외적의 (2)침입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(3)백성들을 억누르는 데 (4)사용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 
한 나라 안에서 (5)약자들이 이런저런 (6)강자들의 (7)침탈 (8)대상이 되는 것을 막기 (9)해서는 그들 모두를 (10)제압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(11)최고 (6)강자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(12)소소한 (6)강자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(13)보장도 없기 때문에 (5)약자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(14)경계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(15)자기 나라를 (16)온전히 (17)지탱하기 (9)해, (11)최고 (18)권력자가 (19)행사할 수 있는 힘의 (20)한계를 (21)규정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(22)권력에 대해 (23)제한을 (24)하는 것을 바로 (25)자유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출처: 존 스튜어트 밀, 자유론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 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限 한할한ː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 읽기4급II 쓰기3급II

 

 

 

#
...그 힘을 (1)외적(外敵)의 (2)침입(侵入)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(3)백성(百姓)들을 억누르는 데 (4)사용(使用)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 
한 나라 안에서 (5)약자(弱者)들이 이런저런 (6)강자(強者)들의 (7)침탈(侵奪) (8)대상(對象)이 되는 것을 막기 (9)(爲)해서는 그들 모두를 (10)제압(制壓)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(11)최고(最高) (6)강자(強者)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(12)소소(小小)한 (6)강자(強者)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(13)보장(保障)도 없기 때문에 (5)약자(弱者)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(14)경계(警戒)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(15)자기(自己) 나라를 (16)온전(穩全)히 (17)지탱(支撑)하기 (9)(爲)해, (11)최고(最高) (18)권력자(權力者)가 (19)행사(行使)할 수 있는 힘의 (20)한계(限界)를 (21)규정(規定)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(22)권력(權力)에 대해 (23)제한(制限)을 (24)(加)하는 것을 바로 (25)자유(自由)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(26)출처(出處): 존 스튜어트 밀, (27)자유론(自由論)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 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#
(1)바깥 외, 대적할 적 (외적(外敵)) /
(2)침노할 침, 들 입 (침입(侵入)) /
(3)일백 백, 성 성 (백성(百姓)) /
(4)하여금 사/부릴 사, 쓸 용 (사용(使用)) /
 
(5)약할 약, 놈 자 (약자(弱者)) /
(6)강할 강, 놈 자 (강자(強者)) /
(7)침노할 침, 빼앗을 탈 (침탈(侵奪)) / 
(8)대할 대, 코끼리 상 (대상(對象)) /
(9)하 위/할 위 (위(爲)) /
(10)절제할 제, 누를 압 (제압(制壓)) /
(11)가장 최, 높을 고 (최고(最高)) /
(12)작을 소, 작을 소 (소소(小小)) /
(13)지킬 보, 막을 장 (보장(保障)) /
(14)깨우칠 경, 경계할 계 (경계(警戒)) /
(15)스스로 자, 몸 기 (자기(自己)) /
(16)편안할 온, 온전 전 (온전(穩全)) /
(17)지탱할 지, 버틸 탱 (지탱(支撑)) /
(18)권세 권, 힘 력, 놈 자 (권력자(權力者)) /
(19)다닐 행/항렬 항, 일 사 (행사(行使)) /
(20)한할 한, 지경 계 (한계(限界)) /
(21)법 규, 정할 정 (규정(規定)) /
(22)권세 권, 힘 력 (권력(權力)) /
(23)절제할 제, 한할 한 (제한(制限))
(24)더할 가 (가(加)) /
(25)스스로 자, 말미암을 유 (자유(自由)) /

(26)날 출, 곳 처 (출처(出處)) /
(27)스스로 자, 말미암을 유, 논할 론 (자유론(自由論))

 

 

 

#
...그 힘을 (1)외적(外敵)의 (2)침입(侵入)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(3)백성(百姓)들을 억누르는 데 (4)사용(使用)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 
한 나라 안에서 (5)약자(弱者)들이 이런저런 (6)강자(強者)들의 (7)침탈(侵奪) (8)대상(對象)이 되는 것을 막기 (9)위(爲)해서는 그들 모두를 (10)제압(制壓)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(11)최고(最高) (6)강자(強者)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(12)소소(小小)한 (6)강자(強者)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(13)보장(保障)도 없기 때문에 (5)약자(弱者)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(14)경계(警戒)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(15)자기(自己) 나라를 (16)온전(穩全)히 (17)지탱(支撑)하기 (9)위(爲)해, (11)최고(最高) (18)권력자(權力者)가 (19)행사(行使)할 수 있는 힘의 (20)한계(限界)를 (21)규정(規定)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(22)권력(權力)에 대해 (23)제한(制限)을 (24)가(加)하는 것을 바로 (25)자유(自由)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(26)출처(出處): 존 스튜어트 밀, (27)자유론(自由論)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 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#
...그 힘을 외적(外敵)의 침입(侵入)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백성(百姓)들을 억누르는 데 사용(使用)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 
한 나라 안에서 약자(弱者)들이 이런저런 강자(強者)들의 침탈(侵奪) 대상(對象)이 되는 것을 막기 위(爲)해서는 그들 모두를 제압(制壓)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최고(最高) 강자(強者)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소소(小小)한 강자(強者)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보장(保障)도 없기 때문에 약자(弱者)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경계(警戒)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자기(自己) 나라를 온전(穩全)히 지탱(支撑)하기 위(爲)해, 최고(最高) 권력자(權力者)가 행사(行使)할 수 있는 힘의 한계(限界)를 규정(規定)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권력(權力)에 대해 제한(制限)을 가(加)하는 것을 바로 자유(自由)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출처(出處): 존 스튜어트 밀, 자유론(自由論)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 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#
...그 힘을 外敵의 侵入을 막는데 쓸 수도 있지만, 그에 못지않게 百姓들을 억누르는 데 使用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. 
한 나라 안에서 弱者들이 이런저런 強者들의 侵奪 對象이 되는 것을 막기 爲해서는 그들 모두를 制壓할 수 있을 만큼 힘이 센 最高 強者가 하나 있어야 했다.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다른 小小한 強者들보다 덜 괴롭히라는 保障도 없기 때문에 弱者들로서는 한시도 그 발톱과 부리에 대한 警戒를 늦출 수가 없었다. 따라서 이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自己 나라를 穩全히 支撑하기 爲해, 最高 權力者가 行使할 수 있는 힘의 限界 規定하고자 했다. 그러면서 이렇게 權力에 대해 制限 加하는 것을 바로 自由liberty라고 불렀다. ...

*出處: 존 스튜어트 밀, 自由論, 서병훈 옮김, 책세상, 2007, 20쪽. [John Stuart Mill, On Liberty, 1859.]

 

 

 

限 한할한ː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 읽기4급II 쓰기3급II 한계 限界

 

 

 

限 한할한ː 한자능력검정시험 한국어문회 한자급수 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 읽기4급II 쓰기3급II 제한 制限

 

 

 

#읽기4급II #쓰기3급II

#바깥외 #대적할적 #외적 #外 #敵 #外敵 #침노할침 #들입 #침입 #侵 #入 #侵入 #일백백 #성성 #백성 #百 #姓 #百姓 #하여금사 #부릴사 #쓸용 #使 #用 #使用 #약할약 #놈자 #약자 #弱 #者 #弱者 #강할강 #強 #強者 #빼앗을탈 #侵 #奪 #침탈 #侵奪 #대할대 #코끼리상 #對 #象 #대상 #對象 #하위 #할위 #위 #爲 #절제할제 #누를압 #制 #壓 #제압 #制壓 #가장최 #높을고 #最 #高 #최고 #最高 #작을소 ##소소 #小小 #지킬보 #막을장 #保 #障 #보장 #保障 #깨우칠경 #경계할계 #警 #戒 #경계 #警戒 #스스로자 #몸기 #自 #己 #자기 #自己 #편안할온 #온전전 #穩 #全 #온전 #穩全 #지탱할지 #버틸탱 #支 #撑 #지탱 #支撑 #권력자 #權 #力 #權力者 #다닐행 #항렬항 #하여금사 #부릴사 #行 #使 #행사 #行使 #한할한 #지경계 #限 #界 #한계 #限界 #법규 #정할정 #規 #定 #규정 #規定 #권력 #權力 #절제할제 #制 #제한 #制限 #더할가 #加 #스스로자 #말미암을유 #自 #由 #自由 #liberty #날출 #곳처 #出 #處 #出處

#자유론 #自由論 #존스튜어트밀 #ㅒOnLiberty #JohnStuartMill #책 #도서 #책세상

#한자능력검정시험 #한국어문회 #한자급수 #한자 #급수 #특급 #1급 #2급 #3급 #4급 #5급 #6급 #7급 #8급
#한자1급 #한자2급 #한자3급 #한자4급 #한자5급 #한자6급 #한자7급 #한자8급 #한자특급 #한자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특급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